팀 프로그램 PSOL: 문제 해결 역량 기반 프로젝트 주제 설정
- 본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이유 WHY-HOW-WHAT
- WHY: 문제 해결 역량을 키우고,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함이다.
- HOW: GPTs 개발
- WHAT: 팀원들의 관심사 중에서, 그에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함.
- 문제 원인 정의
- 1차 원인: 초보 농부들이 식물 질병을 육안으로 진단하기 어려움
- 현상: 식물 질병을 제때에 인지하지 못해 작물 손실이 발생
- 핵심 원인 (Root Cause): 전문 지식 부족으로 인한 질병 진단 및 대처의 어려움
전문 지식 부족으로 인한 질병 진단 및 대처의 어려움
- 영향맵: 연쇄적 연결고리 찾기 (마인드맵)
- 문제로 인하여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요? 혹은 벌어지게 될까요?
농작물 손실 증가, 농업 생산성 저하
- 이 문제를 그대로 두면 어떤 현상과 영향이 연쇄적으로 발생할까요?
경제적 손실 증가, 농업 지속 가능성 저하 - > 농업 비용 상승, 환경 오염 증가
- 나의 영향
- 문제 발생에 내가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요? 혹은 무엇을 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속되었을까요?
식물을 키우면서 해충이 생겼지만, 그 해충의 종류와 대처법을 몰라서 식물이 죽은 경험이 있음.
-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기
ㄴ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[ 농부들과 식집사들이 식물 질병을 진단하고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] 이며,
ㄴ 문제를 선정하게 된 계기는 [ 많은 농부들과 식집사들이 식물 질병으로 인한 손실을 경험하는 것] 이다.
ㄴ 그 사건은 [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농부들이, 주로 농작물의 성장 과정 중, 질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해 발생한 손실]로 나타났으며,
ㄴ 이걸 문제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나에게 [농업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]의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.
- 설문조사: 설문의 의도, 설문응답자 수 / 특성, 새롭게 알게된 점, 프로젝트 주제에 미치는 영향, 이번 설문의 아쉬운 점
- 문제 정의 기반 해결책 도출: 핵심 원인 -> 파생되는 수 많은 문제 해결 방식들 Ideation
ㄴ 핵심원인: 전문 지식 부족
ㄴ 파쟁 문제 해결 방식들: 이미지 인식 기술을 통한 질병 진단, 질병별 맞춤형 해결 방안 제시, 농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
- 프로젝트 주제 문장 만들기
ㄴ 우리가 발견한 [ 농부들과 식집사들의 식물 질병 진단 및 대처 어려움] 문제는
ㄴ 일반적으로 이 문제의 원인을 [전문 지식 부족 ] 이라 생각한다.
ㄴ 하지만 우리는 그 핵심 원인이 [ 효과적인 진단 도구의 부재] 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.
ㄴ 이에 [AI 기반의 진단 시스템 개발 ] 을 해결책으로 판단하고
ㄴ [AgroGuardian] 프로젝트를 시행하고자 한다.
-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기
ㄴ 글로벌 수준에서 풀어야 하는 문제인가 확인 가능: 식물 질병 관리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하며,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필수 과제임.
ㄴ 문제와 관련된 검색 영단어 상위 파악 -> 이미지 검색 -> 내용 확인 및 공유
